우리 예술가
home
NEXTPROJECT
home

Gilpark

Gil park / Abstract 2023#7 / Mixed Media on Canvas / 60.5 x 72.5cm / 2023 / 3,500,000
본 작품은 안정감과 탐구심, 그리고 일상과 추상의 경계를 탐구하며 관람자에게 다층적인 감정을 전달한다. 작품 속 텍스트와 기호는 구체적인 메시지를 제시하기보다는 관람자의 상상력을 자극 하여 독창적인 해석을 이끌어낸다.
파란색은 차분함과 평온함을 상징하며, 갈색은 자연스러움과 따뜻함을 전달하며, 파란색과 조화를 이루어 작품에 균형을 더한다. 중앙에 있는 파란색 도형과 주변의 불규칙한 패턴들이 어우러져, 복잡한듯 하지만 동시에 통일성성을 느끼게 하며, 신문지 조각은 현실과 연결된 느낌으로 서사를 암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신문 텍스트와 독특한 기호들은 관람자에게 호기심을 자극하며, 숨겨진 이야기를 탐구하도록 만 며, 불규칙적인 패턴과 레이어를 통해 혼란스러움을 표현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조화로운 질서를 느끼게 하며, 추상적인 형태와 패턴들은 특정한 서사를 강요하지 않으면서도, 관람자가 개인적 으로 의미를 찾도록 유도하려고 한 것이다. 로버트 라우센버그 (Robert Rauschenberg)의 신문 텍스트와 이미지 조합이 라우센버그의 혼합 매체 작업을 연상하기도 하는 작품이다.
Gil park / Abstract 2023#8 / Mixed Media on Canvas / 60.5 x 72.5cm / 2023 / 3,500,000
본 작품은 따뜻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면서도, 복잡한 텍스처와 추상적 구성을 통해 관람
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작품에서 밝음과 단순함만을 느꼈다면, 텍스처와 복합적 요소에서 오는 감정적 깊이와 긴장감을 다시 탐구해 볼 수도 있다.
노란색에서 단순한 밝음과 긍정을 느낄 수 있지만, 작품의 복합적인 텍스처와 패턴에서 미묘한 긴장감과 복잡성을 더 느꼈을 수도 있다. 작품의 텍스트 요소가 관람자에게는 더 구체적인 메
시지로 보일 수 있지만, 되려 모호성과 상징성으로 다가옴에 따라 관람자의 배경과 시각적 경
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람자의 삶의 경험과 연관된 감정이나 기억이 작품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작가노트
"층위(layer)"의 표현
“층위”는 삶이 단순하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이 얽히고 설켜 있다는 점을 상징한다.
마치 콜라주 작품에서 여러 레이어가 겹쳐지며 하나의 완성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듯, 사람의 삶도 다양한 경험과 기억, 감정들이 겹쳐지며 고유한 이야기를 형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랑, 고통, 기쁨, 배움, 실패 등이 각각 하나의 층위가 될 수 있다.
본 작품들의 층위는 시각적으로는 콜라주의 레이어링을, 철학적으로는 삶의 복잡성과 풍부함을 드러내기 위한 철학적이고 예술적인 비유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층위"라는 단어는 사회적 계층이나 계급의 개념과는 무관하다.
여기서의 층위는 수평적이고 다층적인 구조로서, 상하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들의 독립
성과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시각적 직관성을 위한 작품의 "layer"는 물리적으로 겹쳐진 색감과 텍스처를 떠올리게 하며,
이는 삶의 여러 면을 시각적으로 상징하며, 다차원적 해석 가능성으로 관람자들에게 자유로운 해석과 상상을 열어줄 것이다.
결국 "층위(layer)"는 삶의 계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여러 가지 차원, 경험, 감정, 그리고 복잡한 요소들이 쌓이고 겹쳐지는 구조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ONLINE EXHIBITION